컴포넌트

SOLID 원칙이 벽과 방에 벽돌을 배치하는 방법을 알려준다면, 컴포넌트 원칙은 빌딩에 방을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해준다.

큰 빌딩과 마찬가지로 대규모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작은 컴포넌트들로 만들어진다.

컴포넌트는 배포 단위다.

컴포넌트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배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다.

예시)

  • 자바 - jar

  • 루비 - gem

  • 닷넷 - DLL

여러 컴포넌트를 서로 링크하여 실행 가능한 단일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여러 컴포넌트를 서로 묶어서 .war 파일과 같은 단일 아카이브로 만들 수도 있다.

또는 컴포넌트 각각을 .jar나 .dll 같이 동적으로 로드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나 .exe 파일로 만들어서 독립적으로 배포할 수도 있다.

잘 설계된 컴포넌트는 반드시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따라서 독립적으로 개발 가능한 능력을 갖춰야 한다.

컴포넌트의 역사

  • 개발 초창기 라이브러리 함수의 소스 코드를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직접 포함시켜 단일 프로그램으로 컴파일했다. 이 때 라이브러리는 바이너리가 아니라 소스 코드 형태로 유지되었다 하지만, 이 시대 장치는 느리고 메모리가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함수 라이브러리의 소스 코드를 애플리케이션 코드로부터 분리하고, 함수 라이브러리를 개별적으로 컴파일해,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로드했다. 하지만, 이 방식도 초기에 할당된 메모리보다 애플리케이션이 더 커지게 되자, 애플리케이션을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리하여 함수 라이브러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오가며 동작하게 배치해야 했다. 이것은 분명 지속 가능한 방법이 아니었다. \

재배치성

위 문제의 해결책은 재배치가 가능한 바이너리였다.

로더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재배치할 수 있는 형태의 바이너리를 생성하도록 컴파일러를 수정하였다.

로더는 재배치 코드가 자리할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재배치 코드에는 로드한 데이터에서 어느 부분을 수정해야 정해진 주소에 로드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플래그가 삽입되었다.

프로그래머는 함수 라이브러리를 로드할 위치와 애플리케이션을 로드할 위치를 로더에게 지시할 수 있게 되었다.

로더는 바이너리르 입력받은 후, 단순히 하나씩 차례로 메모리로 로드하면서 재배치하는 작업을 처리하였고, 프로그래머는 필요한 함수만을 로드할 수 있게 되었다

  • 링킹 로더 컴파일러는 재배치 가능한 바이너리 안의 함수 이름을 메타데이터 형태로 생성하도록 수정되었다. 프로그램이 라이브러리 함수를 호출한다면 외부 참조(external reference)로 생성했다. 프로그램이 라이브러리 함수를 정의한다면 외부 정의(external definition)로 생성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 정의를 로드할 위치가 정해지기만 하면 로더가 외부 참조를 외부 정의에 링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링킹 로더라고 한다.

링커

1970년대가 되자 프로그램이 커지게되고, 링킹 로더는 그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데 매우 긴 시간이 걸렸다.

따라서, 로드와 링크가 분리되었다.

프로그래머는 링커라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 작업을 처리하도록 만들었다.

링커는 링크가 완료된 재배치 코드를 만들어 주었고, 한 번 만들어준 실행 파일은 언제라도 빠르게 로드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디스크의 속도가 증가하고 액티브X와 공유 라이브러리, jar 파일이 등장했으며,

다수의 .jar 또는 공유 라이브러리를 순식간에 서로 링크한 후, 링크가 끝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컴포넌트 플러그인 아키텍처가 탄생했다.

결과적으로 여기 말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런타임에 플러그인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동적 링크파일을 말한다.

Last updated